만 18세 미만의 아동 중, 특정 장애를 가진 경우라면 치료비의 일부를 지원 받을 수 있는 발달재활바우처에 대해 아시나요?
치료 지원금을 제공해주는 국가 바우처인 발달재활바우처는, 소득 기준만 만족한다면 누구든지 신청을 통해서 지원액을 받아볼 수 있는데요. 지원액의 최대 금액은 25만 원입니다.
오늘은 발달재활바우처 소득 기준, 대상, 지원금, 필요 서류, 신청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발달재활바우처 지원 대상 알아보기
발달재활바우처는 장애인복지법 상의 등록 장애 아동이라면 받아볼 수 있는 국가 제공 서비스인데요. 만 18세 미만이 지원 대상에 해당되며, 지원액이 제공되는 장애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뇌병변
- 지적
- 자폐성
- 청각
- 언어
- 시각 장애 아동
혹 6세 미만의 영유아 자녀가 있는 경우라면, 위의 장애 유형 외에도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나 검사 자료로 대체가 가능한데요.
다만, 장애 등록이 안 된 대상자가 만 6시 도래 시에는 만 6세가 되는 달까지만 서비스가 지원됩니다.
대상이 되는 가구는 6개월에 한 번씩 적격 여부를 심사하게 되고요. 만약에 소득이 초과된다면 발달재활바우처 지원은 중단됩니다. 그러면 발달재활바우처 소득 기준이 얼마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발달재활바우처 소득 기준은은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입니다. 일부 가구의 경우엔 소득 기준이 이 이상이어도 지원이 가능하기도 한데요. 예외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장애 아동이 2명 이상 있는 가구
- 부모 중 1명이 중증 장애인인 가구(1,2급 및 3급 중복장애)
위의 경우에 해당된다면 구청장의 승인 하에 지원금 일부를 받을 수 있으니 이 부분 참고해두시기 바랍니다.
▼바로 아래에서 발달재활바우처 대상 선정 기준을 확인해보세요.
발달재활바우처 지원금 알아보기
발달재활바우처 신청을 통해 최대로 받아볼 수 있는 지원액은 월 25만 원인데요. 소득 구간에 따라서 지원액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신청자의 소득이 적을 수록 더 많은 금액을 지원 받을 수 있는 방식이라 생각해주시면 되는데요.
소득 수준에 따라서 지원되는 발달재활바우처의 지원 금액과 본인 부담금은 아래에서 확인 바랍니다.
소득 수준 | 지원금 | 본인 부담금 |
기초생활수급자(다형) | 월 25만 원 | 면제 |
차상위계층(가형) | 월 23만 원 | 2만 원 |
차상위계층 초과~기준중위소득 65% 이하(나형) | 월 21만 원 | 4만 원 |
기중중위소득 65% 초과~ 120% 이하(라형) | 월 19만 원 | 6만 원 |
기준중위소득 120% 초과~180%이하(마형) | 월 17만 원 | 8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을 제외한 분들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 소득이 궁금하실 텐데요. 퍼센테이지 별 중위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달재활바우처 지원 서비스를 받고 싶은 분들은 위의 2024년 기준 중위 소득을 확인해보신 뒤, 자격 조건에 합당하다면 발달재활바우처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바로 아래에서 발달재활바우처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발달재활바우처 신청 방법 알아보기
발달재활바우처 신청 절차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모두 밟아보실 수 있는데요.
오프라인의 경우, 이전엔 행복복지센터에서 방문 신청만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거주지 기준 주민센터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2024년부터는 온라인 신청도 가능해졌는데요. 복지로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간편히 신청을 마칠 수 있습니다.
간편 인증과 금융 인증서, 공동인증서를 통해 본인 인증 과정만 거치고 나면 간단히 발달재활바우처 신청이 가능하고요.
다만, 발달재활바우처 신청을 하실 때에는 필요 서류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소득증명서와 건강보험 납부확인서가 발달재활바우처 서류에 포함됩니다.
온라인 신청을 하실 분들은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역시 인터넷을 통해서 발급 받으실 수 있는데요.
그 외 기타 서비스 신청 및 서류에 대한 아내는 보건복지부콜센터에 문의해 보시는 게 좋으니 참고 바랍니다.
▼바로 아래에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